택시 웃돈 내고 부르는 스마트 호출 폐지
월 9만9천원 받는 프로멤버십 요금 인하
월 9만9천원 받는 프로멤버십 요금 인하

최근 전방위 압박을 받는 카카오가 소상공인·협력사 지원을 위한 기금을 조성하고 모빌리티 일부 사업을 조정하는 등 상생 방안을 내놓았다.
카카오는 13~14일 주요 계열사 대표 전체 회의에서 사회적 책임을 강화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카카오는 먼저 플랫폼 종사자와 소상공인 등 파트너들과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어가기 위해 공동체 차원에서 5년간 상생 기금 3천억 원을 마련할 계획이다.
카카오는 IT혁신과 이용자들의 후생을 더할 수 있는 영역 중심으로 사업을 펼치면서 '골목 상권 논란' 사업은 계열사 정리 및 철수를 검토할 방침이다.
이와 관련해 가장 많은 지적을 받은 카카오모빌리티가 나선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지속해서 마찰<사진>을 빚어온 택시업계를 달래는 방안을 내놓았다.
돈을 더 내면 카카오 택시가 빨리 잡히는 기능인 '스마트호출'을 폐지하고, 가입 기사에게 배차 혜택을 주는 요금제 '프로멤버십' 가격은 9만9천원에서 3만9천원으로 낮추겠다고 밝혔다.
단, 지역별로도 '가맹 택시 상생 협의회(가칭)'를 구성해 전국 법인 및 개인 가맹택시 사업자들과 건강한 가맹 사업 구조 확립을 위한 논의를 진행할 계획이라고도 했다.
본사 차원의 상생 기금에 참여해 대리운전·택시를 포함해 플랫폼에 참여하는 다양한 공급자·종사자의 복지를 증진하는 방안을 연내 발표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교통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