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101곳, 전기차 보조금 신청 접수
상태바
지자체 101곳, 전기차 보조금 신청 접수
  • 이승한 기자 nyus449@gyotongn.com
  • 승인 2017.01.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해(31곳) 보다 70곳 늘어
 

지난해(31곳) 보다 70곳 늘어

지역별 1700~2600만원 혜택

울릉도 2600만원으로 최다액

제주도는 7361대 보조금 지급

[교통신문 이승한 기자] 환경부가 25일부터 전국 101곳 지방자치단체(이하 지자체)에서 민간 대상 전기자동차 구매 보조금 신청을 접수받는다고 밝혔다.<표 참조>

올해 전기차 구매 보조금을 지원해 주는 지자체는 지난해(31곳) 보다 70곳이 늘어났다. 부산․대구․인천 등 43곳에서는 25일부터 즉시 구매신청이 가능하다. 수원․성남․고양 등 32곳은 31일부터, 서울 등 나머지 지자체는 지방비 확보와 관련된 절차를 진행한 후 늦어도 4월부터는 구매신청을 받는다.

올해 전기차 구매 보조금은 국고(1400만원)와 지방비(300∼1200만원)을 합해 지자체별로 1700만원에서 2600만원까지 받을 수 있다. 보조금 혜택을 받으면 현대차 아이오닉 EV 기준 1400~2300만원에 구매가 가능하다.

전기차 구매 보조금이 가장 많은 지자체는 울릉도로, 국고와 지방비를 합쳐 2600만원을 지원받는다. 청주(2400만원)와 순천(2200만원)이 뒤를 잇는다.

 

구매 보조금 지원 물량이 가장 많은 곳은 제주도로 7361대에 보조금을 지급한다. 이어서 서울(3483대), 대구(1931대), 부산(500대) 순이다.

보조금을 받아 구입할 수 있는 전기차는 현대차 ‘아이오닉 EV’, 기아차 ‘레이 EV’와 ‘쏘울 EV’, 르노삼성차 ‘SM3Z.E.’ 및 ‘트위지’, 닛산 ‘리프’, BMW ‘i3’, 파워프라자 ‘라보 피스’ 8개 차종이다. 지난해까지 지원을 받았던 한국GM ‘스파크 EV’는 단종으로 빠졌고, 대신 트위지가 새로 포함됐다.

관심을 끌고 있는 한국GM ‘볼트 EV’는 보조금 지급대상 평가를 통과했지만, 국내 출시 이전이라 이번에는 포함되지 못했다. 회사 계획대로 3~4월 출시되면 이후 보조금 신청이 가능하다.

환경부는 교통안전공단이 지난 2014년 밝힌 승용차 연평균 주행거리(1만3724km)를 대입했을 때 차량 구매비용과 세금․연료비를 포함한 5년 간 전기차 비용이 1600∼2500만원 수준이라고 밝혔다. 이는 동급 내연기관 차량(2800만원)과 비교할 때 전기차가 최대 1200만원 절약되는 셈이다.

대상 차종

제조‧판매사

차 종

주행거리(km)

배터리사양

차량 가격(만원)

공급가격

부가세

상온

(20∼30℃)

저온

(-7℃)

용량

(kWh)

보증기간

공장도가격

개소세‧ 교육세

현대

아이오닉 EV

191

155

28

10년

16만km

4000

3636

0

364

4300

3909

0

391

기아

레이 EV

91

69.3

16.4

6년 12만km

3500

3182

0

318

쏘울 EV

148

123.7

27

10년 16만km

4140

3764

0

376

르노

삼성

SM3 Z.E

135

83.5

22

7년 14만km

3900

3545

0

355

4100

3727

0

373

트위지

60.8

64

6

3년 5만km

1550

1409

0

141

닛산

리프

132

85.5

21.3

5년 10만km

4590

4162

11

417

5180

4666

43

471

BMW

i3

132

75.5

18.8

8년 10만km

5760

5161

75

524

6360

5673

109

578

파워

프라자

피스

67.5

71.9

16

7년

15만km

3690

3355

0

335

 * 취득세(공장도가격+개소세‧교육세+부가세 7%) 제외

※ 전기자동차 보조금 대상차종은 전기자동차 통합포털(ev.or.kr)에서 열람 가능

※ GM 볼트 EV는 보조금 지급대상 평가를 통과했지만, 국내 출시 이전이라 상반기 출시 이후 보조금 신청 가능

전기차 구매 희망자는 인근 자동차 판매 대리점에 방문해 보조금 지원을 위한 구매 신청서와 계약서를 작성하면 자동차 판매 대리점에서 지자체에 서류 제출 등 관련 절차를 대행해 준다.

환경부는 전기차 보급사업과 관련해 원활하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전기차 통합콜센터(1661-0970)와 통합포털(www.ev.or.kr)을 운영하고 있다. 통합콜센터가 마련돼 그간 ‘환경부’ ‘지자체’ ‘자동차 판매 대리점’ 등으로 분산되던 보조금 관련 문의를 일원화할 수 있게 됐다.

차량 직접체험을 위해 서울 코엑스 로비에는 전기차 전용 홍보관도 운영된다. 홍보관은 2월 26일까지 운영될 예정이다. 구매 희망자가 홍보관에 방문하면 현장에 전시된 아이오닉, 쏘울 등 전기차를 직접 체험하고 구매절차에 대한 상담도 받을 수 있다.

지난 22일 홍보관을 방문한 조경규 환경부 장관은 “전기차를 구매하면 미세먼지 저감을 비롯해 온실가스 감축으로 환경도 살리고, 연료비가 저렴해 가계부담도 덜 수 있다”며 “전기차 장점이 널리 알려져 보다 많은 국민이 구매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단위 : 대 / 만원)

지자체명

민간

보급대수

구매

보조금

접수

시작일

특이사항

서울

3483

미정

2월 중

지방보조금 단가 책정 후 보급

부산

500

1900

1.25

 

대구

1931

1900∼2600

1.25

승용 1491대 1900만원,

화물 500대 2200∼2600만원

인천

262

1900

1.25

 

광주

95

2100

1.31

 

대전

172

1900

1.25

 

울산

50

1900

1.25

 

세종

20

2100

2.15

 

경기

소계

961

 

 

 

수원

283

1900

1.31

 

성남

82

1900

1.31

 

고양

100

1900

1.31

 

부천

44

1900

1.31

40대 우선 보급

(나머지는 지방비 확보 후 4월 보급)

용인

35

1900

1.31

20대 우선 보급

(나머지는 지방비 확보 후 4월 보급)

안산

20

1900

1.31

10대 우선 보급

(나머지는 지방비 확보 후 4월 보급)

안양

12

1900

1.31

5대 우선 보급

(나머지는 지방비 확보 후 4월 보급)

남양주

20

1900

1.31

5대 우선 보급

(나머지는 지방비 확보 후 4월 보급)

의정부

30

1900

1.31

20대 우선 보급

(나머지는 지방비 확보 후 4월 보급)

평택

15

1900

1.31

5대 우선 보급

(나머지는 지방비 확보 후 4월 보급)

시흥

10

1900

1.31

4대 우선 보급

(나머지는 지방비 확보 후 4월 보급)

화성

30

1900

1.31

20대 우선 보급

(나머지는 지방비 확보 후 4월 보급)

광명

10

1900

1.31

3대 우선 보급

(나머지는 지방비 확보 후 4월 보급)

파주

20

1900

4월 중

지방비 확보 후 보급

군포

60

1900

1.31

30대 우선 보급

(나머지는 지방비 확보 후 4월 보급)

광주

10

1900

1.31

2대 우선 보급

(나머지는 지방비 확보 후 4월 보급)

김포

10

1900

1.31

3대 우선 보급

(나머지는 지방비 확보 후 4월 보급)

이천

10

1900

4월 중

지방비 확보 후 보급

구리

20

1900

1.31

6대 우선 보급

(나머지는 지방비 확보 후 4월 보급)

양주

10

1900

1.31

1대 우선 보급

(나머지는 지방비 확보 후 4월 보급)

안성

10

1900

1.31

1대 우선 보급

(나머지는 지방비 확보 후 4월 보급)

포천

10

1900

4월 중

지방비 확보 후 보급

오산

10

1900

1.31

2대 우선 보급

(나머지는 지방비 확보 후 4월 보급)

하남

30

1900

1.31

10대 우선 보급

(나머지는 지방비 확보 후 4월 보급)

의왕

10

1900

1.31

10대 우선 보급

(나머지는 지방비 확보 후 4월 보급)

여주

10

1900

4월 중

지방비 확보 후 보급

동두천

10

1900

1.31

1대 우선 보급

(나머지는 지방비 확보 후 4월 보급)

양평

10

1900

4월 중

지방비 확보 후 보급

과천

10

1900

1.31

3대 우선 보급

(나머지는 지방비 확보 후 4월 보급)

가평

10

1900

4월 중

지방비 확보 후 보급

연천

10

1900

4월 중

지방비 확보 후 보급

강원

소계

45

 

 

 

춘천

10

2040

1.31

 

삼척

23

2040

1.25

 

홍천

1

2040

1.31

 

평창

11

2040

1.25

 

충북

소계

112

 

 

 

청주

30

2400

1.25

 

제천

1

2200

1.25

 

괴산

3

2200

1.31

2014년 이후부터 거주조건

충남

소계

39

 

 

 

공주

5

2000

4월 중

지방비 확보 후 보급

보령

2

2000

4월 중

지방비 확보 후 보급

아산

10

2100

4월 중

지방비 확보 후 보급

서산

5

2200

4월 중

지방비 확보 후 보급

논산

4

2000

4월 중

지방비 확보 후 보급

당진

3

2000

4월 중

지방비 확보 후 보급

부여

4

2000

4월 중

지방비 확보 후 보급

예산

6

2000

4월 중

지방비 확보 후 보급

전북

소계

83

 

 

 

전주

30

2000

1.25

 

군산

14

2000

1.25

 

정읍

10

2000

1.25

 

남원

9

2000

1.25

 

완주

12

2000

1.25

 

장수

2

2000

1.25

 

임실

2

2000

1.25

 

부안

4

2000

1.25

 

전남

소계

473

 

 

 

여수

30

1900

2.15

 

순천

200

2200

1.31

 

나주

80

2200

2.1

 

광양

50

1900

1.26

 

고흥

2

2200

2.15

 

화순

5

1800∼2100

1.31

 

해남

1

1900

3.2

 

영광

100

1900

2.6

 

완도

5

1800

1.25

 

경북

소계

321

 

 

 

포항

150

2000

1.25

 

경주

7

2000

1.25

 

김천

1

2000

1.25

 

영주

3

2000

1.25

 

영천

2

2000

1.25

 

상주

4

2000

1.25

 

문경

5

2000

1.25

 

경산

3

2000

1.25

 

청도

1

2000

1.25

 

성주

2

2000

1.25

 

예천

1

2000

1.31

 

울릉

142

2600

4월 중

지방비 확보 후 보급 

경남

소계

282

 

 

 

창원

38

1700

1.25

충전기 보조금 400만원 지원

51

1900

충전기 보조금 300만원 지원

20

778

저속전기차(공공기관 보급)

통영

5

1700

1.25

 

사천

5

1700

1.31

 

김해

75

1900

1.6

58대는 접수 중

(나머지는 4월중 보급)

밀양

6

1700

2월 중

 

거제

14

1700

1.25

 

양산

30

1700

1.25

 

의령

1

1700

1.25

 

함안

5

1700

1.25

 

창녕

4

1700

1.25

 

고성

2

1700

1.25

 

남해

5

1700

1.25

 

하동

8

1700

1.25

 

산청

9

2000

1.25

 

함양

1

1700

1.25

 

거창

1

1700

1.25

 

합천

2

1700

1.25

 

제주

7361

2000

1.25

 

※ 지방자치단체별 신청자격 등 자세한 사항은 전기차 통합포털(www.ev.or.kr)에서 조회가능(변동사항은 상시 업데이트)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